전공관련공부 (4) 썸네일형 리스트형 Normalization할 때 많이 나오는 적분 공식 : xe^(-ax^2) 등등 양자역학 재수강하다가 적분 멍청이인 나를 보고 현타 와서 기록 중 이렇게 암것도 기억이 안 날 수가 있다니 정말 놀랍다 맨날 부분적분 때리다가 무한 적분의 굴레에 빠진 나를 보고 어이가 없어졌다 사실 전자기학할 때도 적분이 제일 귀찮았는데 이땐 살짝 무식하게 암기로 밀어붙여서 겨우 넘어갔더니 양자역학에선 더욱 노답이 되어버렸음 암튼 양자역학 제일 초반부를 공부하다 보면 파동 함수를 Normalization을 해야 하는 파트가 나온다 여기서 맨날 파동함수를 제곱해서 계산해줘야 하는데 보통 이런 식의 초월함수의 적분이 나왔을 때 시간을 많이 잡아먹었다 다항식, 삼각함수 다 많이 나오는데 내가 제일 못하는 게 대부분 ∫−∞∞e−αx2dx 이 적분.. CH.5 Magnetostatics - 1. The Lorentz Force Law - (1) ** 본 내용은 학부생이 수업내용을 복습하며 공부한 내용으로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CH.5 Magnetostatics 1. The Lorentz Force Law (1) Magnetic field 정전기학과 정자기학은 용어를 정의하고 전개해나가는 방식이 비슷하다. 정전기학의 경우 저번 학기에 배운 거라 따로 포스팅을 하지는 못했지만, 자기학 공부를 하면서 계속 비교해보며 공부를 해볼 예정이다 정전기학 정자기학 전기력 정의 전하들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각 전하들에 작용하는 힘인 쿨롱 force, 전기력이 존재한다. 전기력은 인력, 척력 2가지가 존재한다. 전하: 전기적 성질을 띠는 입자로, (+)전하와 (-)전하가 존재한다. ↓ 전기력을 통해 전기장 정의 $\vec{E}=\frac{\vec.. 신문 스크랩: 해상풍력 분야에서 대만 급성장, 퀄컴 확장현실(XR) 헤드셋 출시 해상풍력 분야에서 대만의 급성장 - 재생에너지 후발주자인 대만에게 해상풍력 시장 주도권을 뺏길 수 있다는 우려 현황 - MHI 베스타스-대만 TLC 해상풍력 발전용 블레이드 제조 위한 계약 체결 * MHI: 풍력발전기 터빈 제작사 - 블레이드를 현지에서 생산할 수 있는 최초의 현지화 계약 * 블레이드: 유체 클러치, 송풍기, 증기 터빈 등에 사용되는 날개의 총칭 - MHI 베스타스는 대만에 블레이드 제조공장 신설 → 아시아 시장 확대 위한 전초기지 마련을 위한 것으로 보는 중 - MHI가 해상풍력 분야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을 중심으로 사업을 풀어갈 것이란 관측 대만: 해상풍력발전 육성에 집중 중 - 2017년 풍력발전 4개년 계획 수립(25년까지 풍력발전 설비 용량을 6700 MW 규모로 확대) - 17.. CES 2010년부터 2020년까지 키워드와 제품들 정리 아직 학교에서 이론적인 공부만 하고 있지만 나중에 진로를 위해서 IT 관련 분야를 계속 알아보는 게 좋을 것 같아 시작한 IT 분야 공부! 유튜브에서 삼성이나 LG에서 나온 제품 영상을 몇 개 본 적이 있기는 하지만 이렇게 CES에 대한 기사들을 직접 찾아본 건 처음이다. 사실 1월 초에 하는 박람회라 2월에 알아보는 건 조금 뒷북이지만...!! 그래도 전체적인 동향을 살펴봤다는 데에 의의를 두려고 한다. 2010년부터 동향이 전체적으로 바뀌기 시작했다는 말을 들어서 올해에 나온 제품들을 알아보기 전에 지난 10년간의 주요 키워드들과 관심이 갔던 제품들을 정리해봤다. 정리하면서 느낀 건 고작 10년 동안 제품들이 꾸준히 발전하면서 엄청나게 변해왔다는거...! 막연하게 생각하던 것과 키워드를 직접 정리해보..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