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공부

코로나 사태로 인한 미국 기업들의 파산

미국은 현재 코로나 19 확산을 막기 위해 경제 셧다운과 수요 쇼크를 겪고 있음

 

현재 내놓은 부양책: 코로나 바이러스 지원, 구제, 경제 안전법 (CARES Act)

- 경기 부양 << 고용, GDP 유지 

- 실업수당의 액수를 인상하고 적용 대상을 확대함 

- 여러 중소 기업이 제외되어 불만 나오는 중

  ex) 미용실, 세탁소, 주택 설비 등 → 자금 지원 못 받으면 대량 실직 예정

 

전반적인 산업의 기업 파산이 시작되는 중: 소매업계의 파산이 시작이라는 의견 있음

- 트루 릴리전: 파산 보호 신청(채무 상환을 잠정 유보함)

▷ 한 벌에 20~30만원 정도인 고가 청바지 브랜드 → 온라인 쇼핑 선호 & 자라 같은 패스트 패션에서 저렴한 청바지로의 유행 변화 따라가지 못함

지난 3년 간 두 번째 신청: 코로나 사태에 따라 매장 폐쇄 길어지며 운영이 어려워짐

 

- JC 페니: 부채 상환 못하고 파산 보호 신청 검토 중

100년 정도 된 미국 백화점 체인 

대형 할인점(마셜, 월마트 등), 전자 상거래 업체(아마존)와의 경쟁에서 밀리며 이미 자금난을 겪고 있었음 → 코로나 사태에 의해 사태 악화

올해 초에 장기 채무 일부의 상환 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협상에 실패 → 파손 보호 신청 검토

미국 백화점 전반이 바이러스 확산 방지 위해 문을 닫는 중이라 타격받는 중

 

- AMC(글로벌 영화관 체인 1위): 파산 보호 신청 임박

지난 달부터 미국 전역 영화관 셧다운 중이라 직원들도 강제 무급 휴가 중인 상태: 구조조정 변호사까지 선임했음

2012년 중국 완다 그룹이 미국의 AMC 인수한 후 16년에 영화관 체인 글로벌 1위가 됨(빚이 많은 상태)

→ 시진핑 정부부터 부채를 줄이라는 압박받아 자산 매각하면서 AMC 지분도 실버레이크에 일부 매각함

→ 실버레이크는 주로 테크 기업에 투자하던 사모펀드 였으나 엔터테인먼트 기업에 투자를 늘려왔음. 현재 코로나 사태로 총체적으로 타격 입음

 

- 화이팅 페트롤리엄: 미 셰일 업계에서 첫 파산

셰일 산업 구제 위해 정부에서 원유 채굴 중단, 업체에 보상하는 방안 추진 중: 원유 채굴하지 않으면 돈을 지급

코로나 사태에 따른 수요 절벽으로 국제 유가 하락으로 저유가 기조가 오랫동안 이어질 전망

셰일 오일은 저유가로 책정하면 손해를 봄 → 화이팅 페트롤리엄이 이 수익성의 한계로 인해 파산 신청함

저유가의 과잉 공급으로 셰일 산업이 붕괴할 수 있음

OPEC(석유 수출국 기구와 러시아 등 10개 산유국 연합)에서 5월, 6월 두 달 동안 원유 감산하기로 합의한 상황 

but 이 합의로도 수요 감소를 상쇄하기 어려워 보임

 

 

'이것저것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국 반정부 시위  (0) 2020.08.12
주택 임대차 보호법 - 임대차 3법  (0) 2020.08.12
EUV 공정  (0) 2020.07.20
사모펀드 KKR  (0) 2020.07.15
민식이법, 한미 방위비 협상, 지역화폐  (0) 2020.04.08